자동차 접촉사고 시 처리하는 방법 알아보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자동차 접촉사고 시 처리하는 방법 알아보기
좁은 아파트에서 주차하는 것은 점점더 힘들어 지고 있습니다. 특히 어두운 밤에 좁은 주차장에서 접촉사고가 날 경우 난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자동차 접촉사고시 조치해야할 사항과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접촉사고가 발생 인지
주차를 하거나, 주자된 차를 뺄 때 긁히는 소리는 접촉사고를 의심해야 합니다.
요즘 차들은 접촉사고가 날 경우 경보음이 생깁니다. 옆 차량에 경보음이 울린다면 자신의 차와 접촉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뭔가 접촉이 있다고 생각된다면 비상등을 켜고 반드시 내려서 이상유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상대차량에 블랙박스가 있기 때문에 접촉사고를 내고 달아날 경우 뺑소니로 입건될 수 있습니다.
2. 접촉사고 발생 확인
자신의 부주의로 접촉하고가 발생했다면 먼저 사고부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어두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상대차량의 전화번호, 번호판도 찍어 둡니다.
약간 접촉은 있은 것 같으나 전혀 이상이 없다면 상대편 차주에게 연락하고 양해를 구하면 됩니다. 이상한 차주가 아니라면 접촉은 있은 것 같으나 이상이 없다면 그냥 넘어 갑니다.
그러나 차량 페인트가 벗겨지는 정도의 접촉이라면 사고 접수가 필요합니다.
3. 사고접수
사고접수는 평상시 차량보험회사의 연락처를 휴대폰에 등록해 놓는 곳이 좋습니다.
차량사고시 당혹스러워서 보험회사 전화번호를 찾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사고접수 시 필요 정보
- 사고 위치
- 사고 시간
- 운전자 인적사항(성함, 연락처)
- 사고피해 부위(다음처럼 구체적으로 오해없도록 설명해야 합니다. "사고부위는 운전석쪽 앞 범퍼 스크래치 20cm 정도이며, 페인트가 벗겨져 있습니다.")
* 피해차량의 차주 연락처만 알아도 보험회사에서 연락해 처리가 가능합니다만 구체적인 피해상황을 정확히 알아야 불필요한 보험료 지출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
4. 보험회사 사고 조치
사고접수가 되면 보험회사에서 사고 담당자를 배정하게 되며, 이후에는 가해차주는 별도로 피해차량 차주에게 연락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조치는 자동차보험회사에서 하게되면 피해액이 확정되면 전화로 보험회사는 가해차량 차주에게 연락을 줍니다.
5. 주의사항
일단 접촉사고가 나면 보험회사에 사고접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수가 상승하는 것 보다 차라리 현금으로 보상하고 처리하는 것이 더 이득일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험접수를 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단 보험회사에 사고접수를 하더라도 비용적 측면을 생각해 보험을 통해 처리할 것인지 개인적인 비용으로 부담해 처리할 것인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사고접수를 안하고 그냥 넘어 갔다 뺑소니로 몰리거나, 분쟁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보험회사에 연락해 사고접수를 하는 편이 좋습니다.
요즘은 블랙박스가 워낙 보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스크래치가 발생한 접촉사고라 하더라도 반드시 상대 차주에게 연락해서 사고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이정도면 괜찮겠지 하는 마음으로 사고 자리를 이탈할 경우 뺑소니로 몰릴 수 있음을 잊으며 안되겠습니다.
6. 맺음말
주차를 하거나, 출발하다 부주의로 접촉사고가 나는 것은 매우 흔한일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고를 낼 경우 자신에 대한 책망과 자괴감에 빠지곤 합니다. 그러나, 사소한 접촉사고는 늘 주변에 일으나는 일이고, 가끔은 자신의 운전 관행을 되돌아보고 환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소위 올해 액땜했다는 말이 있듯이, 이번의 사소한 접촉사고는 더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했을 지도 모른다는 스스로의 위안을 삼으시길 바랍니다.
사소한 스크래치도 몇십만원에서 1백만원까지 수리비용이 듭니다. 돈나가는 것에 속이 쓰리겠지만, 인명사고는 아니니 다행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