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렌즈 미러리스 피킹(Peaking) 기능 사용 방법 알아보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최근 미러리스 수동카메라 렌즈를 구입하였습니다. 수동렌즈를 구입 시 가장 큰 걱정은 초점을 맞추는 일일 것입니다. 오토포커싱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수동으로 초점을 잡는 것은 귀찮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소니 미러리스 기준으로 포커스 피킹 기능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피킹(Peaking) 기능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피킹은 수동렌즈의 초점 잡는 것을 돕기 위한 기능입니다.
피킹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특정색이 표시되도록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내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특정색이 입혀지면 초점이 맞다는 의미입니다.
피킹의 원리는 사진의 초점이 맞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면 좀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통상 초점이 맞다는 것은 촬영 대상물이 뚜렷하게 표현된다는 것이며, 이는 대상물의 외곽 경계선이 명확하게 배경과 구분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카메라는 명암비의 차이가 큰 부분을 특정한 색으로 표시하여 초점이 잡히는 부분으로 표현해 줍니다.
1. 미러리스 소니 NEX-6 포커서 피킹 설정 방법
제가 가지고 있는 미러리스는 소니의 NEX-6로 2012년에 출시된 미러리스이나 여전히 잘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입니다. 여기에 피킹기능이 있어서 수동렌즈도 어렵지 않게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
| 카메라 설정에서 피킹 레벨과 피킹 색상 선택 |
카메라 "메뉴"→ "설정" 화면으로 들어감
1. 렌즈 없이 촬영 → "가능" 으로 변경
2. 피킹 레벨 → 고, 중, 저 중에서 선택
👉 피킹 레벨을 "고" 로 선택할 수록 표현되는 피킹의 범위가 넓어지고, "저"로 갈 수록 피킹의 범위가 줄어듭니다.
👉 조리개를 열어서(F값이 낮다는 말임) 심도가 낮아 질 경우 피킹 레벨을 낮추어야 초점이 맞는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실 심도가 낮을 경우 카메라에 의존해 초점을 잡는 것 보다 이미지 확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용합니다.
3. 피킹 색상 → 희색, 빨강, 노란색이 있는데 빨간색이 시인성이 더 좋아서 빨간색으로 설정
2. 피킹 기능 사용 방법
1. LCD창에서 촬영 대상물에 피킹 색이 외곽에 표시되도록 초점 조절링을 돌림
2. LCD창에 피킹색이 원하는 지점에 표시되었으나 초점이 맞지 않을 경우 이미지 확대 기능 사용
3. 이미지 확대 버튼의 눌러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초점이 잘 맞는 지를 확인 후 셔터 버튼 누름
![]() |
| 피킹으로 초점이 맞는 영역 표시 |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을 변경하면 피킹 기능이 활성화되어 뷰파인드와 LCD창에서 초점링을 조절하면 빨간색 테두리들이 생겨납니다.
촬영 대상물, 배경 그리고 조리개 개방 정도에 따라 피킹 색만으로 완벽히 초점을 잡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급적 이미지 확대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초점이 잘 맞는 지를 확인하면 실패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NEX-6는 이미지 확대를 4,8배와 9.6배 2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촬영 대상에 따라 배율을 조절하면 나름 정밀하게 초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익숙해 지면 초점 조절링을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빠르게 촬영이 가능합니다.
![]() |
| 초점을 잡기 위한 이미지 확대 |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