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간의 주식 증여 한번에 이해하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최근 주식시장이 활발해져, 가족간 주식 증여를 통한 세금절세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식 증여에 대해 한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증여는 무상으로 주는 것
주식 증여란 쉬운 예로 부모가 자녀에게 주식을 무상으로 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1000만 원어치 주식을 줄 경우, 그 돈은 자식이 번 돈이 아니기 때문에 세금을 내야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증여세는 일정 금액까지 내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 법에서는 성인자녀에게 부모가 5000만 원까지는 증여세를 내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세금 절세를 위한 주식 증여 시점
부모가 자식에게 주식을 증여할 때는 상대적으로 주식 가격이 낮을 때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컨데 1억 원짜리 주식이 50% 하락해서 5천 만원까지 하락했을 때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게되면 증여세 없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다시 주식이 1억 원으로 회복하게되면 결과적으로 1억 원의 주식을 세금없이 증여한 셈이 됩니다.
즉 보유주식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많이 빠져 상승여력이 있는 주식이 증여하는데 좋습니다.
주식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되는 주식 가치를 계산하는 기준일은 증여일 하루의 주가가 아닌, 증여일 전후 2개월간의 주식 가격 평균에 의한다는 점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전후 2개월이니 총 4개월이 되겠습니다. 계산방법은 증여일 전 2개월과 증여일 후 2개월 동안의 주식 가격을 모두 더한후 그 평균 가격이 증여 시의 주식 가치가 됩니다.
주식 증여 세금 산정하는 방법
위에서 주식 가치를 계산해서 1주당 가격이 나오면, 증여한 주식을 곱해서 전체 금액을 산정하게됩니다. 예를 들어 1주당 가격이 5천 원이고 1만주를 자식에게 증여하였다면 5천만원(5천원 × 1만주 = 5천 만원)이 증여한 주식의 가치가 됩니다.
이경우 부모가 자식에게 5천 만원까지는 무과세이므로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일정 금액까지 세금을 부과하지 않으며, 가족 간의 증여 시 공제액은 아래와 같음>
|
다만 주의하셔야할 부분은 증여당시 주식의 가치가 5천 만원 이하로 판단하고 증여를 하였는데 갑자기 주식가격이 상승하여 증여 주식의 가치가 5천 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한 부분에 대한 세금을 부담하셔야 합니다.
예컨데 주식 증여 시점에 주식의 가치가 5천 만원이었으나, 증여 시점 이후 주식이 급등하여 그 가치가 7천 만원이 되면 5천 만원에서 초과한 2천 만원에 대한 세금을 내야합니다.
<증여세율>
|
세금을 절세하기 위한 주식 증여 취소
만약 주식 증여 시점 보다 주식이 올라 세금이 부과되면, 증여한 주식의 가치를 5천 만원 이하가 되도록 일부 주식의 증여를 취소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주식 증여의 취소는 주식 증여를 한 날이 포함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가능합니다.
증여세 신고
증여세 신고는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하셔야합니다. 세금납부도 해당 기간 안에 완료해야하므로 납부해야할 세금이 많을 경우 납부계획을 잘 세워야 합니다.
증여 시 주의할 점
10년 내 동일 증여자에게 받은 재산은 합산해서 증여세를 계산합니다. 예컨데 부모가 자녀에게 5천 만원의 주식을 주고 5년 뒤 다시 5천 만원의 주식을 주면 두번 받은 금액을 합산해 1억 원의 주식을 증여 받은 것으로 해서 증여세를 부과 받게 됩니다.